지금까지 DTO와 VO의 차이를 모르고 사용했습니다.
VO(Value Object) 말 그대로 값을 담고 있는 객체라고 생각했고 DTO(Data Transfer Object)도 동일하게 값을 담고있는 객체라고 생각했다. 허나 둘의 차이에는
Read only 라는 차이점이 있었다.
VO는 값 자체를 나타내므로 setter 와 같은 새로 값을 지정하는 메서드가 존재해선 안된다!!!
DTO는 데이터를 담ㅇ ㅏ 계층 간으로 전달한다. 값을 가져오고 전달해 지정하는것 getter setter가 있다.